광양시, 김 수출 1조원 시대 최초 양식지 광양김시식지

김역사관, 유물전시관, 문화관광해설사의 친절한 안내까지 김에 관한 모든 것

김미숙 | 기사입력 2024/12/01 [18:55]

광양시, 김 수출 1조원 시대 최초 양식지 광양김시식지

김역사관, 유물전시관, 문화관광해설사의 친절한 안내까지 김에 관한 모든 것

김미숙 | 입력 : 2024/12/01 [18:55]

[이트레블뉴스=김미숙 기자] K-김밥 등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김 수출액이 2년 연속 1조 원을 달성하고 있는 가운데 인류 최초로 김을 양식한 광양김시식지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김밥, 김부각, 김스낵 등 한국인의 식탁을 넘어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김을 인류가 생산의 영역으로 확장한 것은 4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오른다.

 

병자호란에 의병으로 활약하던 김여익은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은 것을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하던 중 해초가 바다에 떠다니는 나무에 걸리는 것을 목격했다. 이에 착안,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인 태인도의 이점을 살린 섶꽂이 방식의 양식법을 최초로 창안 보급하면서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했다.

 

▲ 광양김시식지 _ 광양시

 

인조는 수라상에 오른 김에 매료됐고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에 그의 성을 따 ‘김’이라 부르도록 했다는 스토리는 듣는 이의 흥미를 끈다. 광양시 김시식지 1길에는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창안한 김여익의 공과 그 역사를 기리는 광양김시식지가 있다.

 

광양김시식지는 김 역사관, 유물전시관 등을 갖추고 있으며 문화관광해설사의 깨알 같은 안내와 함께 김의 역사와 유래, 제조과정 등 김에 관한 모든 것을 한자리에서 알 수 있다.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여익의 후손들은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조상의 공을 기리고 있으며, 김의 풍작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가 300여 년 동안 이어지고 있다.

 

김성수 관광과장은 자연의 영역을 생산의 영역으로 확장해 김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 역사를 기리는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을 최초로 양식한 창의공간이자 김 수출 1조 원 시대를 연 발원지라면서 광양김시식지를 찾아 그 장소가 갖는 역사와 의미를 되새기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김시식지는 설, 추석 등 명절 당일을 제외하고 연중무휴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되며, 문화관광해설사의 깊이 있는 해설이 방문객을 기다리고 있다.

 
전남 광양시 김시식지1길 57-6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양시, 김역사관, 김수출, 먹거리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국내여행
계절을 거스르는 초록빛 여행지 국립생태원과 장항송림산림욕장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