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갯벌세계유산센터·노을대교 등 고창군 3조원대 메가프로젝트 눈길
고창 2022~2023년 국가예산 발굴 보고회 더 큰 미래로 도약하는 한반도 첫수도
이소정 | 입력 : 2021/02/23 [09:04]
[이트레블뉴스=이소정 기자] 전북 고창군의 100년 먹거리를 책임질 3조원 상당의 메가프로젝트가 윤곽을 드러냈다. 세계문화유산도시의 강점을 살리고, 청정한 자연환경·풍부한 농생명 자원을 특화시켜 한반도 첫수도 고창을 다시 도약시키겠다는 전략이다. 고창군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유기상 군수 주재로 부군수, 국장, 부서장이 참여한 가운데 2022~2023년 국가예산 신규사업 발굴 및 중점관리사업 보고회를 열었다.
군은 지난해 9월부터 3차례에 보고회를 거치며 초대형 메가프로젝트 사업을 찾고 국가예산 지원을 위한 전략마련에 몰두해 왔다. 그 결과, 2022년 확보대상사업은 89건 3839억원, 2023년 확보대상사업은 39건 2조9737억원 등 총 128건 3조3576억원 규모로 확정했다. 이 중 고창갯벌세계유산센터 건립(315억원) 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고창군은 오는 7월 고창갯벌의 세계자연유산 등재 성공 이후 한국 갯벌연구와 생태보전의 중심지를 위해 세계유산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 메가프로젝트_고창갯벌세계유산센터가 들어설 고창군 삼양염업사 염전 전경 _ 고창군
|
또 새만금 내부개발과 고창·부안해상풍력 배후도시에 따른 물류량 급증, 고창일반산업단지 활성화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노을대교, 서해안철도건설 등 핵심 SOC사업의 국가계획반영, 국비확보에도 총력전을 펼칠 계획이다. 이에 더해 한국형 그린뉴딜 대응사업으로 녹색도시경관 조성 지중화사업(120억원)도 제시됐고, 고창군 핵심시책인 농생명식품산업과 역사문화관광수도 전략 사업들도 다수 포함돼 지역발전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군은 단계별 대응 전략을 실행하고 중앙부처와 전북도를 수시 방문하는 등 긴밀한 협조 체계 강화로 예산확보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며, 고창군수는 메가프로젝트는 한반도 첫수도 고창이 한 단계 도약하는 최대 핵심사업이 될 것이다며 발표된 대단위 핵심프로젝트가 미래 100년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국내여행 관련기사목록
- 익산시, 4대종교 다이로운 익산여행, 치유순례관광 메카로 급부상
- 문화재청, 꽃 피는 봄 청와대에서 문화예술공연 펼쳐진다
- 전주시 조선 왕실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 경회루 2층 누각에서 즐기는 2023 경회루 특별관람 시행
- 남원시, 글로벌 관광도시 분위기 조성 위해 관광설명회 개최
- 대구광역시, 벚꽃 내음 가득한 도심 봄내음길으로의 여행
- 대전시, 대전 0시 축제 캐치프레이즈 공모
- 단양군, 레저스포츠 전문가 양성한다
- 익산시, 봄 설렘 관광상품 출시
- 창원특례시, 2023 경남관광박람회 개최
- 국내 최대 관광산업 교류의 장, 2023 서울국제트래블마트(SITM) 참가기업 모집
- 울산광역시, 울산박물관 답사로 배우는 우리 역사 운영
- 서귀포시, 제40회 서귀포 유채꽃 축제 개최
- 새 옷으로 단장한 로봇랜드, 다양한 봄맞이 행사 개최
- 4년 만에 열리는 경주벚꽃축제
- 해남군, 흑석산 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 경상남도, ‘워케이션’으로 새 단장하는 농촌체험휴양마을
- 광주광역시, 자전거관광 훈이오빠 확장 운영
- 불갑산 단풍 절정, 이번 주 주말까지 이어질 듯
- 담양군, 한지공예 전시회 개최
|
- 국내여행
- 찾아가고 싶은 봄섬, 하화도·관매도·반월박지도
- 국내여행
- 경상북도 공무원이 추천하는 시군별 벚꽃명소 23곳
1/3
|